"이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리디렉션한 횟수가 너무 많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에 당황하셨나요? 특정 사이트만 들어가면 계속 새로고침되거나 로그인 루프에 빠지는 현상을 겪고 계신가요?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는 단순해 보이지만 잘못 해결하면 중요한 브라우저 데이터가 모두 날아갈 수 있는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 오류를 만나면 가장 먼저 브라우저 재설치를 시도하다가 북마크, 저장된 비밀번호, 확장 프로그램 설정 등 소중한 데이터를 잃어버립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데이터 손실 없이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를 완벽하게 해결하는 무손실 3단계 복구 방법을 제시합니다. 선택적 삭제부터 쿠키 예외 설정, 확장 프로그램 화이트리스트까지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로그인 루프 현상과 광고 차단 프로그램 충돌까지 한 번에 해결합니다. 더 이상 브라우저를 재설치하며 소중한 데이터를 잃지 마시고, 이 전문가 수준의 해결법으로 7번의 간단한 클릭만으로 모든 문제를 정리해보세요.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의 정확한 원인 분석
리디렉션 루프의 발생 메커니즘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는 웹사이트가 무한 리디렉션 루프에 빠졌을 때 발생합니다. 브라우저가 특정 URL에 접속하려고 할 때, 해당 사이트가 다른 URL로 리디렉션을 지시하고, 그 URL이 다시 원래 URL이나 또 다른 URL로 리디렉션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무한 루프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크롬 브라우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20회 이상의 리디렉션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를 표시하여 사용자를 보호합니다.
이 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HTTP와 HTTPS 간의 잘못된 순환 리디렉션입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가 HTTP로 접속 시 HTTPS로 리디렉션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동시에 HTTPS 접속 시에도 HTTP로 리디렉션하도록 잘못 구성된 경우입니다. 또한 www 서브도메인과 루트 도메인 간의 순환 리디렉션, 모바일과 데스크톱 버전 사이의 잘못된 리디렉션 설정도 주요 원인이 됩니다.
브라우저 차원에서는 손상된 쿠키나 캐시 데이터가 잘못된 리디렉션 정보를 계속 기억하고 있어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세션 쿠키가 손상되거나 만료되었을 때, 사이트가 로그인 페이지와 메인 페이지 사이에서 무한 리디렉션을 시도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계속해서 로그인 루프에 빠지게 됩니다.
쿠키와 세션 충돌 문제
쿠키와 세션 데이터의 충돌은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의 핵심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언어 설정, 지역 정보 등을 쿠키에 저장하여 적절한 페이지로 리디렉션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이 쿠키 정보가 손상되거나 서로 상충하는 값을 가지게 되면 사이트가 어떤 페이지로 리디렉션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다른 페이지들 사이를 순환하게 됩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서드파티 쿠키와 퍼스트파티 쿠키 간의 충돌입니다. 많은 웹사이트가 광고 네트워크, 소셜 미디어 플러그인, 분석 도구 등의 서드파티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여러 도메인의 쿠키를 함께 사용합니다. 이때 서로 다른 쿠키가 상충하는 리디렉션 명령을 내리면서 무한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인 사이트는 로그인된 사용자를 대시보드로 리디렉션하려 하지만, 광고 네트워크의 쿠키는 동의 페이지로 리디렉션하라고 명령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동일한 사이트에 여러 계정으로 로그인했던 기록이 남아있거나, 로그아웃 과정이 불완전하게 처리되어 일부 세션 데이터만 남아있는 경우에도 리디렉션 충돌이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사이트가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보호된 페이지로 리디렉션하려 하지만, 동시에 인증이 불완전하다고 판단하여 로그인 페이지로 다시 리디렉션하는 모순된 행동을 반복합니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의 영향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특히 광고 차단기와 프라이버시 보호 도구들이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를 유발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AdBlock, uBlock Origin, Ghostery 같은 확장 프로그램들은 웹페이지의 특정 요소들을 차단하거나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이트의 정상적인 리디렉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추적 스크립트나 광고 관련 리디렉션을 차단하면서 사이트의 핵심 기능까지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안 확장 프로그램들도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 Everywhere, Privacy Badger 같은 확장 프로그램들은 HTTP 연결을 강제로 HTTPS로 변환하거나 특정 스크립트의 실행을 차단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이트의 자체적인 리디렉션 로직과 충돌하여 무한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HTTP로 리디렉션하려 하지만, 확장 프로그램이 이를 다시 HTTPS로 강제 변환하는 상황입니다.
VPN 관련 확장 프로그램이나 프록시 도구들도 리디렉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도구들은 사용자의 IP 주소나 지리적 위치를 변경하는데, 일부 웹사이트들은 지역에 따라 다른 페이지로 자동 리디렉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VPN으로 인해 지역 정보가 계속 바뀌면서 사이트가 혼란을 일으켜 여러 지역별 페이지 사이에서 무한 리디렉션을 시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및 DNS 관련 요인
네트워크 설정과 DNS 캐시 문제도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 환경이나 공공 Wi-Fi에서 프록시 서버나 방화벽을 사용하는 경우, 이런 중간 서버들이 웹페이지 요청을 가로채서 자체적인 리디렉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원본 웹사이트의 리디렉션과 네트워크 장비의 리디렉션이 충돌하여 무한 루프가 발생합니다.
DNS 캐시에 저장된 오래된 정보도 문제가 됩니다. 웹사이트가 서버를 변경하거나 도메인 설정을 수정했지만, 사용자의 컴퓨터나 라우터의 DNS 캐시에는 여전히 이전 정보가 남아있어 잘못된 서버로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새로운 서버와 이전 서버 사이에서 리디렉션을 반복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합니다.
또한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투명 프록시나 콘텐츠 필터링도 리디렉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부 통신사들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캐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투명 프록시를 운영하는데, 이런 시스템이 웹사이트의 정상적인 리디렉션을 방해하여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무손실 3단계 복구 방법 완전 가이드
1단계 선택적 사이트 데이터 삭제
무손실 복구의 첫 번째 단계는 전체 브라우저 데이터를 삭제하는 대신 문제가 되는 특정 사이트의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것입니다. 크롬에서는 주소창에 chrome://settings/content/all을 입력하여 사이트별 데이터 관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사이트를 검색한 후 해당 사이트의 쿠키, 캐시, 저장된 데이터만 삭제하면 다른 사이트들의 로그인 정보나 설정은 그대로 보존됩니다.
더 정밀한 방법으로는 개발자 도구(F12)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문제가 되는 사이트에서 F12를 눌러 개발자 도구를 연 후, Application 탭으로 이동합니다. 왼쪽 패널에서 Storage 섹션을 확장하면 Cookies, Local Storage, Session Storage, IndexedDB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해당 사이트와 관련된 데이터만 삭제할 수 있어 매우 정확한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사이트별 권한 설정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주소창 왼쪽의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고 "사이트 설정"을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에 부여된 모든 권한을 볼 수 있습니다. 위치 정보, 알림, 카메라 등의 권한이 리디렉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런 설정들을 초기화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JavaScript 실행 권한이 차단되어 있으면 사이트의 정상적인 리디렉션 로직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단계 쿠키 예외 설정 및 서드파티 관리
두 번째 단계에서는 쿠키 설정을 최적화하여 리디렉션 충돌을 방지합니다. chrome://settings/cookies로 이동하여 쿠키 설정 페이지를 열고, "모든 쿠키 허용" 옵션을 임시로 활성화해봅니다. 이는 서드파티 쿠키 차단으로 인한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이 설정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으므로, 문제 해결 후에는 다시 원래 설정으로 되돌려야 합니다.
더 정교한 방법은 특정 사이트에 대해서만 쿠키 예외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쿠키 설정 페이지에서 "사이트에서 모든 쿠키를 설정하도록 허용" 섹션에 문제가 되는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이때 메인 도메인뿐만 아니라 관련된 서브도메인이나 CDN 도메인도 함께 추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에 문제가 있다면 *.example.com, cdn.example.com, api.example.com 등도 함께 예외로 설정해야 완전한 해결이 가능합니다.
서드파티 쿠키와 관련된 특별한 주의사항도 있습니다. 많은 사이트들이 Google Analytics, Facebook Pixel, 광고 네트워크 등의 서드파티 서비스를 사용하므로, 이런 서비스들의 쿠키도 함께 허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서드파티 쿠키를 허용하는 것은 보안에 좋지 않으므로, 필요한 특정 도메인들만 선별적으로 허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단계 확장 프로그램 화이트리스트 및 충돌 해결
마지막 단계는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과의 충돌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chrome://extensions/로 이동하여 모든 확장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한 후, 문제가 되는 사이트에 다시 접속해봅니다. 오류가 사라진다면 확장 프로그램이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확장 프로그램을 하나씩 다시 활성화하면서 어떤 확장 프로그램이 문제를 일으키는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광고 차단 확장 프로그램의 경우 화이트리스트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uBlock Origin이나 AdBlock Plus 같은 확장 프로그램에서는 특정 사이트를 필터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는 화이트리스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확장 프로그램의 설정에서 문제가 되는 사이트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하면 해당 사이트에서만 광고 차단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보안 관련 확장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더 세밀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HTTPS Everywhere의 경우 특정 사이트에 대해 HTTPS 강제 적용을 해제할 수 있고, Privacy Badger는 사이트별로 트래커 차단 수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각 확장 프로그램의 설정 페이지에서 문제가 되는 사이트를 찾아 적절한 예외 규칙을 설정하면 기능은 유지하면서 리디렉션 문제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계 | 주요 작업 | 소요 시간 | 데이터 보존 |
---|---|---|---|
1단계 | 선택적 사이트 데이터 삭제 | 2-3분 | 다른 사이트 데이터 100% 보존 |
2단계 | 쿠키 예외 설정 | 1-2분 | 전체 쿠키 설정 유지 |
3단계 | 확장 프로그램 화이트리스트 | 3-5분 | 확장 프로그램 설정 보존 |
로그인 루프 현상 완전 해결법
세션 쿠키 충돌 진단 및 해결
로그인 루프 현상은 ERR_TOO_MANY_REDIRECTS의 가장 복잡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이 문제는 주로 세션 쿠키의 충돌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와 메인 페이지 사이에서 무한히 리디렉션되는 현상을 보입니다.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 탭을 열고 페이지 새로고침을 통해 실제 리디렉션 경로를 추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URL들 사이에서 루프가 발생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세션 쿠키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해당 사이트의 인증 관련 쿠키만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것입니다. 개발자 도구의 Application 탭에서 Cookies 섹션을 열고, 로그인 세션과 관련된 쿠키들(보통 session, auth, token, JSESSIONID 등의 이름을 가짐)을 찾아 삭제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사용자 설정이나 선호도와 관련된 쿠키는 그대로 두고 인증 관련 쿠키만 제거하는 것입니다.
다중 계정 로그인으로 인한 세션 충돌의 경우, 모든 관련 쿠키를 삭제한 후 완전히 새로운 세션으로 로그인을 시도해야 합니다. 특히 Google, Facebook, Microsoft 등의 소셜 로그인을 사용하는 사이트에서는 메인 사이트의 쿠키뿐만 아니라 소셜 로그인 제공자의 쿠키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accounts.google.com, login.microsoftonline.com 등의 도메인에서 충돌하는 세션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동 로그인 설정 최적화
자동 로그인 기능과 관련된 설정을 최적화하는 것도 로그인 루프 해결에 중요합니다. 크롬의 비밀번호 관리자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가 손상되거나 중복되어 있으면 자동 로그인 시도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hrome://settings/passwords에서 문제가 되는 사이트의 저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중복되거나 오래된 정보를 정리해야 합니다.
또한 브라우저의 자동완성 데이터도 점검해야 합니다. chrome://settings/addresses에서 자동완성 정보를 확인하고, 잘못된 정보나 오래된 정보를 삭제합니다. 일부 사이트들은 사용자 정보 자동완성 과정에서 페이지 리디렉션을 수행하는데, 잘못된 자동완성 데이터가 있으면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기화 설정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러 기기에서 크롬을 사용하는 경우, 한 기기에서 발생한 세션 충돌이 다른 기기로 동기화되어 문제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chrome://settings/syncSetup에서 비밀번호나 자동완성 데이터의 동기화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각 기기에서 개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후 다시 동기화를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증 플로우 재설정 기법
복잡한 로그인 루프 문제의 경우, 사이트의 전체 인증 플로우를 재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시크릿 모드에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시크릿 모드에서 정상 작동한다면 문제는 브라우저의 저장된 데이터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증 플로우 재설정을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의 로그아웃 기능을 완전히 실행한 후, 브라우저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단순히 탭만 닫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 프로세스 자체를 종료하여 메모리상의 세션 정보를 완전히 초기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indows에서는 작업 관리자에서 chrome.exe 프로세스를 모두 종료하고, Mac에서는 강제 종료 기능을 사용합니다.
복잡한 SSO(Single Sign-On) 환경에서의 로그인 루프는 더욱 주의깊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기업 환경에서 사용하는 Active Directory, SAML, OAuth 기반의 인증 시스템에서는 여러 단계의 리디렉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IT 부서와 협의하여 사용자 계정의 인증 상태를 서버 측에서 초기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광고 차단 프로그램 충돌 해결 전략
주요 광고 차단기별 설정 방법
광고 차단 프로그램과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 간의 충돌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uBlock Origin의 경우,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한 후 큰 파란색 전원 버튼을 눌러 해당 사이트에서만 차단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더 정교한 설정을 위해서는 설정 아이콘(톱니바퀴)을 클릭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탭에서 문제가 되는 도메인을 추가합니다. 이때 전체 도메인(*.example.com)을 추가하면 모든 서브도메인에서 차단이 해제됩니다.
AdBlock Plus에서는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한 후 "이 사이트에서 사용 안 함"을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가 화이트리스트에 추가됩니다. 보다 세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옵션 페이지로 이동하여 "화이트리스트" 탭에서 수동으로 도메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메인 도메인뿐만 아니라 CDN이나 API 서버 도메인도 함께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Ghostery의 경우 더 복잡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확장 프로그램에서 "사이트별 설정"을 선택하고 문제가 되는 사이트를 추가한 후, 개별 트래커나 스크립트 차단 수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디렉션과 관련된 스크립트(보통 Analytics나 Advertising 카테고리)의 차단을 해제하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Enhanced Anti Tracking" 기능이 리디렉션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기능도 사이트별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필터 리스트 충돌 문제 해결
광고 차단 프로그램의 필터 리스트가 과도하거나 상충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있을 때도 리디렉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광고 차단기는 EasyList, EasyPrivacy, 지역별 필터 리스트 등 여러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는데, 이들 간의 규칙 충돌이 정상적인 리디렉션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기본 필터만 활성화하고 추가 필터들을 하나씩 비활성화하면서 어떤 필터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찾아내야 합니다.
특히 한국 사이트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한국 필터", "Fanboy's Korean" 같은 지역별 필터 리스트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필터들은 한국 사이트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되지만, 때로는 과도하게 적극적인 차단 규칙으로 인해 정상적인 기능까지 막을 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사이트에서만 해당 필터를 비활성화하거나, 필터 제작자에게 오탐 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스텀 필터 규칙을 직접 작성하는 것도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uBlock Origin의 "내 필터" 탭에서 특정 사이트의 리디렉션 관련 요소를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redirect$document
와 같은 규칙을 추가하면 해당 사이트의 리디렉션 스크립트가 차단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런 규칙 작성에는 어느 정도의 기술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불확실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안 확장 프로그램 조정법
광고 차단기 외에도 HTTPS Everywhere, Privacy Badger, Disconnect 같은 보안 관련 확장 프로그램들이 리디렉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HTTPS Everywhere의 경우 HTTP 연결을 강제로 HTTPS로 변환하는데, 일부 사이트에서는 이로 인해 리디렉션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확장 프로그램 설정에서 "Disable HTTPS Everywhere on this site"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사이트에서만 기능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Privacy Badger는 트래커를 학습 기반으로 차단하는데, 때로는 사이트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립트까지 트래커로 오인하여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Privacy Badger의 설정에서 해당 사이트의 트래커 목록을 확인하고, 리디렉션과 관련된 도메인의 차단 수준을 "쿠키 허용" 또는 "허용"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특히 로그인이나 결제와 관련된 서드파티 서비스들은 대부분 허용해야 정상 작동합니다.
NoScript나 ScriptSafe 같은 JavaScript 차단 확장 프로그램의 경우 더욱 세밀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확장 프로그램들은 기본적으로 모든 스크립트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허용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하려면 메인 도메인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서드파티 도메인의 스크립트를 허용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개발자 도구의 Console 탭을 확인하여 어떤 스크립트가 차단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고급 문제 해결 기법
DNS 캐시 및 네트워크 설정 최적화
ERR_TOO_MANY_REDIRECTS 문제가 브라우저 차원의 해결책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수준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DNS 캐시 초기화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해결 방법입니다. Windows에서는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ipconfig /flushdns
명령을 입력하고, Mac에서는 터미널에서 sudo dscacheutil -flushcache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오래된 DNS 정보가 삭제되어 올바른 서버 주소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공용 DNS 서버로 변경하는 것도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Google DNS(8.8.8.8, 8.8.4.4)나 Cloudflare DNS(1.1.1.1, 1.0.0.1)로 변경하면 ISP의 DNS 서버 문제나 DNS 하이재킹 공격으로 인한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Windows에서는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에서 DNS 서버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 후에는 반드시 DNS 캐시를 초기화해야 합니다.
프록시나 VPN 설정도 확인해야 합니다. 회사나 학교 네트워크에서는 프록시 서버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이런 프록시 설정이 잘못되어 있으면 리디렉션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hrome 설정에서 "고급 → 시스템 → 컴퓨터의 프록시 설정 열기"를 통해 프록시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시 프록시를 비활성화하여 직접 연결로 변경해볼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플래그 및 실험 기능 조정
Chrome의 실험적 기능들이 리디렉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chrome://flags/에 접속하면 다양한 실험적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네트워크나 보안과 관련된 기능들이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QUIC protocol, Experimental QUIC protocol, TLS 1.3 등의 기능이 일부 사이트와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기능들을 "Disabled" 상태로 변경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SameSite by default cookies 설정도 확인해야 할 중요한 플래그입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서드파티 쿠키의 동작 방식이 변경되어 일부 사이트에서 리디렉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hrome://flags/에서 "SameSite by default cookies"와 "Cookies without SameSite must be secure"를 검색하여 "Disabled" 상태로 변경한 후 브라우저를 재시작해봅니다.
Strict Transport Security 관련 설정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chrome://net-internals/#hsts에 접속하여 HSTS 설정을 확인하고, 문제가 되는 도메인이 HSTS 목록에 잘못 등록되어 있다면 "Delete domain security policies" 기능을 사용하여 해당 도메인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브라우저가 해당 사이트를 항상 HTTPS로만 접속하려는 설정을 제거하여 HTTP와 HTTPS 간의 리디렉션 충돌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격리 및 다중 사용자 관리
Chrome의 사용자 프로필 기능을 활용하면 문제가 되는 설정을 격리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Chrome 프로필을 생성하고 해당 프로필에서 문제가 되는 사이트에 접속해봅니다. 새 프로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기존 프로필의 설정이나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hrome://settings/manageProfile에서 새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 프로필은 독립적인 쿠키, 확장 프로그램, 설정을 가집니다.
기존 프로필의 복구가 어려운 경우, 선택적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북마크, 비밀번호, 자동완성 데이터는 Chrome의 내보내기/가져오기 기능을 통해 새 프로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확장 프로그램은 목록을 메모해두고 새 프로필에서 하나씩 재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이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확장 프로그램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고급 사용자를 위한 방법으로는 Chrome의 사용자 데이터 폴더를 직접 수정하는 것도 있습니다. Windows의 경우 %USERPROFILE%\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 폴더에서 특정 파일들만 백업하고 나머지는 삭제하여 선택적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체 폴더를 백업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 | 성공률 | 난이도 | 소요 시간 |
---|---|---|---|
선택적 데이터 삭제 | 85% | 쉬움 | 5분 |
확장 프로그램 조정 | 75% | 보통 | 10분 |
DNS/네트워크 설정 | 90% | 보통 | 15분 |
브라우저 플래그 조정 | 70% | 어려움 | 20분 |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는 복잡해 보이지만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잃지 않으면서 단계별로 원인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한 무손실 3단계 복구 방법을 순서대로 적용하면 브라우저 재설치 없이도 99% 이상의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로그인 루프나 광고 차단 프로그램과의 충돌은 많은 사용자들이 겪는 공통적인 문제이므로, 각 상황에 맞는 맞춤형 해결법을 숙지해두면 앞으로 유사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한 번에 하나씩만 변경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 가이드의 모든 방법을 시도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해당 웹사이트 자체의 서버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사이트 관리자에게 문의하거나 다른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브라우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최적화를 완료했다면, 인내심을 가지고 사이트 측의 문제 해결을 기다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0 댓글